본문 바로가기

Subject/Reversing

QR Code



<정의>


- 1차원적인 바코드와 다르게, 2차원 형태의 데이터 표현방식으로 숫자 이외에 알파벳, 한자 등 문자 데이터도 저장 가능.

- 판별 가능한 선에서, 색상 변경 가능. 

- 데이터의 표현과 읽기를 수월하게 하고자 

 콰이어트 존, 위치 검출 패턴[분리자 포함], 타이밍 패턴, 정렬 패턴, 포맷 정보, 버전 정보, 데이터 영역[에러 정정 코드 영역 포함] 등의 

영역이 나뉘어 있음.

 숫자 최대 7089 자,

  영문자와 숫자[코드표가 따로 존재] 최대 4296 자, 

  8비트 바이트 최대 2953 바이트, 

  한자 1817자.



<구성>


1 Finding Pattern 

 QR Code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심볼이다. 심볼의 세 개의 정점에 배치하는 것으로써, 심볼의 위치, 크기, 기울임도 검출할 수 있다.Finding Pattern 심볼은 360°전 방향으로 검출 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.

2 Alignment Pattern

 패턴 심볼의 훼손을 보정하기 위한 패턴.특히 비선형 훼손을 보정하는데 효율적이다. 얼라이먼트 패턴 의 중심 좌표를  요구하고, 심볼 훼손을 보정한다. 이 때문에, 얼라이먼트 패턴에 흑색의 고립 셀을 배치해, 중심 좌표를 검출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.

3 Timing Pattern

 각 셀의 중심 좌표를 요구하는 패턴으로, 흑, 백의 패턴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.심볼이 훼손되어있거나 , 셀 피치에  오차가 생겼을 경우, 데이터 셀의 중심 좌표를 보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.세로 방향과 가로방향의 2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.

4 Quiet Zone

 실제로 심볼을 인식할 때 필요하게 되는 여백 스페이스이다. 이 콰이어트 존에 의해, 심볼의 경계가 검출하기 쉬워진다. 덧붙여 QR 코드의 경우는,4 셀 이상을 필요로 한다.

5 데이터 영역

 데이터는 이 영역에서 코드화 된다. 그림5.3-1의 회색 부분이 데이터 영역이다. 데이터는, 규칙에 근거해‘0'과‘1'의 2종류로 부호화되어, 흑/백 의 셀로 변환해 심볼에 배치한다. 데이터 영역에는, 입력 데이터와 오류 정정 기능인  리드 솔로몬 부호가 배치되어 있다


출처: http://qrstory.tistory.com/entry/2-8-QR%EC%BD%94%EB%93%9C%EC%9D%98-%EA%B5%AC%EC%84%B1



 QR코드 복구 문제 푼다고 퍼오긴 했으나, 이 정보는 딱히 도움이 되지 않는듯.


'Subject > Revers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EH - 예외 종류  (0) 2016.10.13
PEB  (0) 2016.10.11
TEB 구조체  (0) 2016.08.07
안티디버깅] TLS 콜백함수 - 실습  (0) 2016.08.07
안티디버깅] TLS 콜백 함수  (0) 2016.08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