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베이스 이론, SQL 1. 배경 : 파일 시스템의 한계로 인해, 데이터 정리를 위한 새로운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됨. 2. 파일 시스템의 한계 -데이터가 종속된다. -> 데이터의 구성, 접근방법이 변경되면 관련된 응용프로그램도 같이 변경됨 -데이터가 중복가능하다. -> 데이터 중복가능으로 다음의 4가지 문제점이 발생. 1) 일관성: (설명이상해서 그냥 뺌) 2) 보안성: 중복되어 있는 데이터 모두에 동일한 수준의 보안을 적용하기란 현실적으로 힘들다 (책에 나와 있는 그대로인데 이게 맞는 소리인가?) 3) 경제성: 중복된 데이터로 인해 잉여공간이 낭비된다. 4) 무결성: 허용된 사용자와, 방식을 통해서만 해당 데이터의 변경이 가능하다. (책 설명이 이상해서 그냥 무결성 뜻 적음) 3. 데이터베이스 -정의 1) 통합된 데이터(I.. 더보기 API] GetWindowThreadProcessId, GetModuleFileName 1)DWORD GetWindowThreadProcessId ( HWND hWnd, LPDWORD lpdwProcessId ); : HWND 값을 이용하여 프로세스ID를 알려줌. -hWnd에 해당하는 PID를 lpdwProcessid에 저장. -lpdwProcessid를 NULL로 줄 경우, 리턴값으로 PID가 반환됨. 2)DWORD WINAPI GetModuleFileName( _In_opt_ HMODULE hModule, _Out_ LPTSTR lpFilename, _In_ DWORD nSize );: 모듈로 그 모듈에 해당하는 파일의 이름을 가져온다. hModule: 모듈, 0일 경우 자기 자신을 가리킴.lpFilname: 함수 호출시, 파일 이름이 저장됨. 더보기 API] wcsicmp, strchr :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고 문자열을 비교 int _wcsicmp(const wchar_t *string1, const wchar_t *string2); 같으면 = 0string1>string2 = 양수string1 더보기 이전 1 ··· 25 26 27 28 29 30 31 ··· 34 다음